역학종합/육효학

육효학 개론

사주명장 김도사 2012. 12. 7. 15:14

 

六爻學講義

 

1.槪念

卦爻가 여섯 개가 된다는 말이다. 日本에서는 斷易이라고 하며 이것은 周易卦에다 十二支를 配置하고 配置된 十二支의 五行의 生剋如何에 따라 吉凶을 判斷하는 占卜術의 한 方法이다. 그래서 五行學이라고도 한다. 方位術. 혹은 觀相. 韓醫學등 두루 活用된다. 易이란 陰과 陽을 基盤으로 하여 모든 相對的인 것을 하나의 象(形)으로 하여 集約한 것인바 그 象은 여덟 가지인데 즉 八卦라고 한다. 이 八卦의 위아래가 둘씩(內外卦) 짝지어 64卦의 易卦가 됨.

그런데 一般人들은 곧잘 이용하는 周易占은 64를 곧바로 해석하는 것에 역점을 두어 단적인 判斷에 局限하나 여기서는 64개에 十二支를 배치하고 거기다가 점치는 달의 月建. 日辰을 關聯시켜 細分化되어 人間萬事의 모든 범위에 活用되는 利點이 있다.

 

육효학강의

 

1.개념

괘효가 여섯 개가 된다는 말이다. 일본에서는 단역이라고 하며 이것은 주역괘에다 십이지를 배치하고 배치된 십이지의 오행의 생극여하에 따라 길흉을 판단하는 점복술의 한 방법이다. 그래서 오행학이라고도 한다. 방위술. 혹은 관상. 한의학등 두루 활용된다. 역이란 음과 양을 기반으로 하여 모든 상대적인 것을 하나의 상(형)으로 하여 집약한 것인바 그 상은 여덟 가지인데 즉 팔괘라고 한다. 이 팔괘의 위아래가 둘씩(내외괘) 짝지어 64괘의 역괘가 됨.

그런데 일반인들은 곧잘 이용하는 주역점은 64를 곧바로 해석하는 것에 역점을 두어 단적인 판단에 국한하나 여기서는 64개에 십이지를 배치하고 거기다가 점치는 달의 월건. 일진을 관련시켜 세분화되어 인간만사의 모든 범위에 활용되는 이점이 있다.


2. 六爻의 基本

여기서는 여러 가지 條件이 있고 그에 따른 名稱들은 갖가지인데 細分하면

★易의 八卦 - 8가지의 基本易卦가 있고 이것이 基礎가 되어 64卦가 된다. 이 易卦를 表現하기 위해서는 陰陽의 符號가 있다.

陽을 「-? 陰을「=?로 하고 이 符號 하나하나를 爻라고 한다. 이 세 개의 爻가 모여 하나의 卦가 된다. 즉 八卦란 세 개의 爻가 모여서 이룬 卦가 여덟 가지가 되기 때문에 붙여진 名稱이다 이것을 小成卦라한다.

★基本八卦-陽과 陰의 各爻가 세 개 모여서 八卦를 成立하는데 陰陽의 符號로 표시된 이들 小成卦는 다음과 같다.

 

2. 육효의 기본

여기서는 여러 가지 조건이 있고 그에 따른 명칭들은 갖가지인데 세분하면

★역의 팔괘 - 8가지의 기본역괘가 있고 이것이 기초가 되어 64괘가 된다. 이 역괘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음양의 부호가 있다.

양을 -�� 음을=��로 하고 이 부호 하나하나를 효라고 한다. 이 세 개의 효가 모여 하나의 괘가 된다. 즉 팔괘란 세 개의 효가 모여서 이룬 괘가 여덟 가지가 되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이것을 소성괘라한다.

★기본팔괘-양과 음의 각효가 세 개 모여서 팔괘를 성립하는데 음양의 부호로 표시된 이들 소성괘는 다음과 같다.

 

符號

 =   =   =

 -   =   =

 =   -   =

 -   -   =

 =   =   -

 -   =   -

 =   -   -

 -   -   -


★六十四卦

小成卦 즉 八卦가 두 개씩 겹쳐 있는 것을 大成卦라 한다. 아래에 있는 小成卦를 下卦 또는 內卦라 하고 위에 있는 小成卦를 上卦 또는 外卦라 한다.

 (1)六爻에서 易卦라 함은 大成卦를 말하는 것이다.

 (2)이들 六十四卦는 內卦가 아래에서부터 「初, 二, 三?爻라 불려지고 外卦가 밑에서부터 「四, 五, 上?爻라함

 (3)이들 易卦를 읽을 때는 上爻(外卦)에 이어 下卦(內卦)를 읽는다.


例) 위에 艮卦(山)가 있고 아래에 離卦(火)가 있는 易이라면 山火賁라 함. 六爻란 즉 大成卦의 十二支를 붙인 것을 활용함.

 

★육십사괘

소성괘 즉 팔괘가 두 개씩 겹쳐 있는 것을 대성괘라 한다. 아래에 있는 소성괘를 하괘 또는 내괘라 하고 위에 있는 소성괘를 상괘 또는 외괘라 한다.

 (1)육효에서 역괘라 함은 대성괘를 말하는 것이다.

 (2)이들 육십사괘는 내괘가 아래에서부터 초, 이, 삼������효라 불려지고 외괘가 밑에서부터 사, 오, 상������효라함

 (3)이들 역괘를 읽을 때는 상효(외괘)에 이어 하괘(내괘)를 읽는다. 
 

예) 위에 간괘(산)가 있고 아래에 이괘(화)가 있는 역이라면 산화분라 함. 육효란 즉 대성괘의 십이지를 붙인 것을 활용함.                   

    

*世應 및 六十四卦의 所屬宮   

  世

 

 六爻

 初爻

 二爻

 三爻

 四爻

 五爻

 四爻

 三爻

  應

 

 三爻

 四爻

 五爻

 六爻

 初爻

 二爻

 初爻

 六爻

 

 

 

 

 

 

 

 

 

 

 乾金

 

天風

天山

天地

風地

山地

火地

 火天

 大有

 坎水

 

重坎水

水澤

水雷

水火

 旣濟

澤火

雷火

地火

 明夷

地水

 艮土

 

重艮山

山火

山天

 大畜

山澤  

火澤

天澤

 風澤

 中孚

風山

 震木

 

重震雷

雷地 

雷水

雷風

地風

水風

澤風

 大過

澤雷

 巽木

 

重巽風

風天

 小畜

風火

 家人

風雷

天雷

 无妄

火雷

 噬嗑

山雷

山風

 離火

 

重離火

火山

火風

火水

 未濟

山水

風水

天水

天火

 同人

 坤土

 

重坤地

地雷

地澤

地天

雷天

 大莊

澤天

 夬

水天

 需

水地

 兌金

 

重兌澤

澤水

澤地

澤山

水山

地山

雷山

 小過

雷澤

 歸妹

 

*세응 및 육십사괘의 소속궁    

  

 

 육효

 초효

 이효

 삼효

 사효

 오효

 사효

 삼효

  

 

 삼효

 사효

 오효

 육효

 초효

 이효

 초효

 육효

                   

 

 

중건천

천풍구

천산둔

천지부

풍지관

산지박

화지진

 화천

 대유

 감수

 

중감수

수택절

수뢰둔

 수화

 기제

택화혁

뢰화풍

 지화

 명이

지수사

 간토

 

중간산

산화분

 산천

 대축

산택손

화택규

천택이

 풍택

 중부

풍산점

 진목

 

중진뢰

뢰지예

뢰수해

뢰풍항

지풍승

수풍정

 택풍

 대과

택뢰수

 손목

 

중손풍

 풍천

 소축

 풍화

 가인

풍뢰익

 천뢰

 무망

 화뢰

 서합

산뢰

산풍고

 이화

 

중이화

화산려

화풍정

 화수

 미제

산수몽

풍수환

천수송

 천화

 동인

 곤토

 

중곤지

지뢰부

지택림

지천태

 뢰천

 대장

택천 

수천 

수지비

 태김

 

중태택

택수곤

택지췌

택산함

수산건

지산겸

 뇌산

 소과

 뢰택

 귀매

 


*身命의 位置

世     位

 子午世

 丑未世

 寅申世

 卯酉世

 辰戌世

 巳亥世

身     位

  初爻

  二爻

  三爻

  四爻

  五爻

  六爻

命     位

  四爻

  五爻

  六爻

  初爻

  二爻   

  三爻

 

假令 世가 子나 午에 임하였다면 身位는 初三이고 命位는 四爻이다. 또 丑이나 未에 世가 있으면 身은 二爻자리요 命은 五爻자리이다.   (六爻學 全書)

占의 목적은 인간의 온갖 지혜와 노력을 다해서 추리하고 연구하여도 도저히 판단을 내릴 수 없는 경우에 한해서만 점을 쳐야 한다. 자신이 지닌 지혜와 역량을 다 기울여보지도 않고 안일한 마음으로 점을 치는 자는 좋은 해답을 얻기 어렵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그리고 점치는 목적은 부정한 일을 도모하기 위해서나 기타 도리에 어긋나는 일을 위해서 점쳐서는 안 된다. 하여도 정확하지 않다.

주역의 깊은 뜻은 천지자연의 바fms 법칙을 본받아 그 이치에 순응함으로써 啓示를 얻어내는 것이므로 부정한 일 도리에 어긋나는 일 등을 위한 점이란 주역의 원리 즉 하늘의 섭리에 반역하는 결과가 되는 까닭에 올바른 반응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점이란 한 가지 일에 대하여 한 번 밖에 칠 수 없다.

점의 결과가 좋지 않다고 해서 좋은 점괘가 나올 때 까지 두 번 세 번 되풀이 행하는 것은 점의 신성을 모독하는 것이 될 뿐 아니라 아무런 가치도 효력도 없음으로서 이다.

그러므로 모름지기 점괘를 얻어 올바른 계시를 얻고자 하려면 이상에서 말한 점을 명심하고 마음의 자세를 바로 잡은 뒤 得卦에 임해야 하는 것임을 거듭 강조하는 것이다.

占卦를 얻어 내는 데는 여러 가지의 방법이 있다. 즉 蓍草(시초)로 作卦하는 筮法(蓍草는 원래 한포기의 五十個의 풀잎으로 되었다)에는 十八變法. 六變法. 二變法. 등과 擲錢法. 松葉得卦法. 算筒占. 破字法. 花鬪. 윷. 등으로 卦를 얻는 방법이 많은데 여기에서는 서법과 척전법 그리고 松葉으로 得卦하는 요령만 알면 된다. 그리고 어떠한 요령에 의하여 卦를 얻든지 간에 효력은 마찬가지이다.

괘를 얻기에 앞서 손을 깨끗이 씻고 분향을 하고 다음과 같은 주문을 외우고 나서 괘를 얻어내야

한다.


“天下言哉시며 地下言哉시리이까 神之靈矣라

告之則應하시나니 某洞(점치고자하는 주인공의 주소) 乾命 甲子生 홍길동은  某年 某日 某事를 吉凶未変이라 伏乞天地神明은 感而遂通 勿秘照示하여 주소서“


六爻構成法

제1절 內卦와 外卦

六爻에는 크게 분리해서 內卦와 外卦로 나뉘는바 內卦는 즉 下卦로서 初爻. 二爻. 三爻를 말하고, 外卦는 上卦로서 四爻. 五爻. 上爻를 말한다.


제2절 飛神붙이는 法

飛神이란 內外卦에 소속된 六甲神즉 干支를 말하는데 飛神의 定局은 아래와 같다.


乾金(甲子) = 子寅辰.  (壬午)午申戌

坎水(戊寅) = 寅辰午.  (戊申)申戌子

艮土(丙辰) = 辰午申.  (丙戌)戌子寅

震木(庚子) = 子寅辰.  (庚午)午申戌

巽木(辛丑) = 丑亥酉.  (辛未)未巳卯


★易卦를 뽑는 方法

방법은 수 백 가지가 있으나 占斷者의 마음가짐이 重要하므로 산란한 마음이나 다른 생각을 가지고 立卦하거나 상대방의 마음에 이상이 생겨도 的中率은 없다.

★六爻의 豫備知識 - 여기서는 必需的으로 前提되는 條件.

(1)占月의 十二支를 알아야 한다.

(2)占日의 干支를 알아야 한다.

(3)占日 기준으로 空亡을 알아야 한다.

(4)立卦하여 六十四卦중 한 易卦를 뽑는다,

(5)十二支配置

(6)六親配置

(7)動爻인 경우에는 變化된 易卦를 利用해야 한다.


*이상의 필수불가결의 基本條件들이다. 이들 조건에 따라 결국 判斷原則과 細則을 정하고 이 細則을 얼마나 이해  하느냐에 따라 吉凶의 的中率이 판가름 된다.


★月建 - 六爻는 먼저 占치는 달의 십이지를 알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을 月建이라 함. 즉 월의 干支이다.(萬歲曆이나 月曆利用)

★日辰 - 占치는 날의 干支

★空亡 - 日辰을 基準으로 하여 定해 지는 두 개의 地支

★六十四卦(暗記要)

★十二支配置(飛神) - 六十四卦에는 各卦의 爻마다 十二支가 配置됨.

  이것을 우리는 飛神이라 한다. 이 飛神의 原流에 대해서 살펴보면 甲納法이라고도 하고 또 納甲法이라고도 한다. 이 飛神의 定局을 一目瞭然하게 설명한 學者도 書冊도 아직 發見되지 않고 있으나, 六甲神이라는 것과 所屬宮의 定局이라는 것은 틀림없다. 우선 所屬宮의 甲納을 암기하여 활용해야 되므로 여기에 列擧하면 다음과 같다.


*納甲法

外卦

內卦

內乙外癸

內丁外丁

內己外己

內辛外辛

內庚外庚

內丙外丙

內戊外戊

內甲外壬

天干

 

예) 原則上 가령, 震木宮에는 初爻가 庚子, 二爻가 庚寅, 三爻가 庚辰등의 干支가 같이 屬하나 六爻의 飛神붙이는 便宜에 따라 天干은 붙이지 않고 地支만을 各爻에 붙이는 것이 通例로 되어 있는데 그 까닭은 五行相生相剋의 作用力이 地支를 基準한 까닭이고 干은 그 作用力이 매우 적기 때문이다.

*팔괘의 十二支配置原理만 알면 六十四卦全體의 配置는 暗記할 필요가 없다.


★飛神붙이는 法

가령 火天大有이면 內卦가 乾宮이니 乾宮의 內卦를 보면 子寅辰이되고 그러면 內卦부터 먼저 立卦하여 놓고 다음 순서는 外卦이니 外卦인 離火의 外卦를 살펴보면 飛神은 酉未巳가 되므로 內卦부터 表記하여 外卦까지 마치면 다음과 같다.


        巳 -

        未 =

        酉 -

        辰 -

        寅 -

        子 -


★六親星의 配置

六十四卦중 하나의 卦가 成立되면 거기에는 六親이라는 一種의 虛星이 配置되어야 한다. 十二支에 依해서 각 효마다 「兄弟. 子孫. 妻財. 官鬼. 父母?등 다섯 가지 六親星을 붙이는 것이다. 그래서 이 六親이 定해 져야만 비로소 用神이 정해지는 것이다. 이 용신의 太過不及之理로 吉凶을 判斷하는 것이다.

(1)六親定法

  生我者는 父母 - 나를 生함

  我生者는 子孫 - 내가 生함

  我剋者는 妻財 - 내가 剋함

  剋我者는 官鬼 - 나를 剋함

  比和者는 兄弟 - 나와 같음.


*여기서 나란 所屬神을 말한다. 卦의 所屬神이란 假令 天火同人卦가 나왔다면 卦는 離火宮에 屬하므로(六十四卦表參照) 天火同人卦의 所屬神은 火가되어 火가 나인 것이다.

다시 말해서 離火宮에는 여덟卦가 있는데 하나하나 열거하면 離爲火. 火山旅. 火風鼎. 火水未濟. 山水蒙. 風水渙. 天水訟. 天火同人의 여덟卦를 확인 할 수 있는데 天火同人은 마지막에 있고 여기 있는 卦는 全部 離火宮이니 五行中 火가 나인 것이다. 그러면 天火同人의卦를 飛神과 六親을 같이 配置하여 보면 天火이니 內卦인 火부터 시작하여 離火의 內卦는 卯丑亥(-=-)이고 다음 外卦인 天은 乾金宮이며 外卦는 午申戌(---)이 되어 上卦(外卦)는 ---이고 下卦(內卦)는 -=-이되므로 配置를 하여 보면(所屬宮 -

                孫 戌 -

                財 申 -

                兄 午 -

                官 亥 -

                孫 丑 =

                父 卯 -

★世應 

붙이는법

世應을 工夫하기전 六十四卦를 暗記하여야 한다.

世應을 붙여야 易卦의 我와 相對方을 아는데 世가 我이고 應이 相對方이다.

요령은 얻어진 卦가 어느 宮에 屬했나를 알아서 그 해당된 宮의 순서로 짚어 가는데 假令 乾金宮 이라면 乾爲天卦가 上爻에 다음이 天風姤는 初爻에 다음은 天山遯이 二爻. 天地否는 三爻. 風地觀은 四爻. 山地剝은 五爻. 火地晉은 四爻. 火天大有는 三爻에 世가 붙는 것이다. 이것을 순서데로 붙여 보면


上爻(乾爲天)①

 ㅣ

五爻(山地剝)⑥    ㅡ   

 ㅣ                         l

四爻(風地觀)⑤         (火地晉) ⑦

 ㅣ                        ㅣ

三爻(天地否)④         (火天大有)⑧

 ㅣ

二爻(天山遯)③

 ㅣ    

初爻(天風姤)②


★應은 上下어느 쪽이든 世에서부터 두 칸만 건너뛰면 된다.

★結果的으로 各宮의 맨 처음 卦는 恒常 上爻에 붙이고 順序대로 進行하다가 五爻에서 한 번 더 붙이고 四爻로 다시 내려와서 끝난다. 

*다음은 應爻의 位置를 整理하면(暗記要)

 初世四應 → 二世五應 → 三世六應 → 四世初應 → 五世二應 →

 六世應은 三爻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世應은 宮에따라 卦象에따라 붙이게 되는데 世가 붙는 爻만 찾으면 應은 쉽게 찾을 수 있다. 飛神붙이는 법을 알면 쉽게 알 수 있다.


★身命 붙이는法

方法이 몇 가지 있는데 살펴보면


*方法1. 

世爻와 같은 字를 찾아서 같은 字가 子丑寅卯辰巳 안에 있으면 初爻부터 子로 始作해 子丑寅卯辰巳까지 세어가다 世爻와 같은 字가 나오면 그 자리가 身이 붙는 자리이다.

또 世爻가 午未申酉戌亥 字안에 있으면 初爻부터 午로 始作하여 午未申酉戌亥까지 세어가다 世爻와 같은字가 나오면 그 자리가 身爻가 붙는 자리이다.


*方法2. 

다른 방법으로는 世爻와 冲되는 字가 身爻다. 즉 世爻를 冲하는 字가 子丑寅卯辰巳안에 있으면 初爻부터 子로 始作하여 子丑寅卯辰巳까지 세어가다 世爻를 冲하는 字가 닿는 자리가 身爻의 자리다.

또 世爻를 冲하는字가 午未申酉戌亥안에 있으면 初爻부터 午로 始作하여 午未申酉戌亥까지 세어가다 世爻를 冲하는 字가 닿는 자리가 身爻의 자리다.


*命爻는 身爻와 두 칸 건너 있게 된다.

 身이 初爻면 命은 四爻다.

 身이 二爻면 命은 五爻다.


方法3.(暗記要)

 子午 持世 身初命四

 丑未 持世 身二命五

 寅申 持世 身三命六

 卯酉 持世 身四命初

 辰戌 持世 身五命二

 巳亥 持世 身六命三


★六獸붙이는법

靑龍. 朱雀. 句陳. 螣蛇. 白虎. 玄武가 있다.

木(甲乙)은 靑龍이다.

火(丙丁)은 朱雀이다.

土(戊)는 句陳이다.

土(己)는 螣蛇이다.

金(庚辛)은 白虎이다.

水(壬癸)는 玄武이다.


六獸는 占하는 날 日辰으로 붙이는데 占하는 日辰天干을 基準하여 붙인다.

甲子日이나 乙丑日이면 甲乙木은 靑龍이니 初爻부터 靑龍으로 始作하여 初爻는 靑龍, 二爻는 朱雀, 三爻는 句陳, 四爻는 螣蛇, 五爻는 白虎, 上爻는 玄武가 붙게 되는 것이다.

丙日이나 丁日이면 丙丁은 朱雀이니 初爻부터 朱雀으로 시작하여 初爻에 朱雀, 二爻에 句陳, 三爻에 螣蛇, 四爻에 白虎, 五爻에는 玄武 上爻에는 靑龍으로 붙인다.

戊日이면 戊는 句陳이니 初爻부터 句陳으로 시작하여 初爻句陳, 二爻螣蛇, 三爻白虎, 四爻玄武, 五爻靑龍, 六爻朱雀이 붙는다.


六獸早見表

上爻

玄武

靑龍

朱雀

句陳

螣蛇

白虎

五爻

白虎

玄武

靑龍

朱雀

句陳

螣蛇

四爻

螣蛇

白虎

玄武

靑龍

朱雀

句陳

三爻

句陳

螣蛇

白虎

玄武

靑龍

朱雀

二爻

朱雀

句陳

螣蛇

白虎

玄武

靑龍

初爻

靑龍

朱雀

句陳

螣蛇

白虎

玄武

 爻

   日     干

甲乙

丙丁

 戊

 己

庚辛

壬癸

 *甲乙日은 靑色이니 靑龍이고

 丙丁日은  赤色이니 朱雀이고

 戊日은    黃色이니 句陳이며

 己日은    黃色이니 螣蛇이며

 庚辛日은  白色이니 白虎며

 壬癸日은  黑色이니 玄武이니라.


★動爻

陽爻가 動하면 陰爻로 變하고 陰爻가 動하면 陽爻로 變한다. 또 動爻로 얻은 수가 1이면 初爻動이고 2이면 二爻動, 3이면 三爻動....

變爻란 動爻가 변하여 다른 卦神의 動爻의 위치에 소속됨을 말한다.

動이된 爻가 陽이면 陽變陰, 陰이면 陰變陽이 된다. 따라서 음양의 바뀜에 따라 卦가 변하고 卦가 변함에 따라 그 卦에 소속된 飛神도 바뀌는데 오직 動이된 효에 한해서 飛神만 表記해야 한다.


-寅

=子

=戌

=辰   -亥          山雷頤의 三爻動이니 山雷頤 之 山  =寅                 火賁로 된다.

-子        


 

★用神

이상에서 설명한 요령으로 易卦자체는 표출된다.

이것이 바탕이므로 중요한 것이긴 하나 이것만으로 六爻의 판단이 곧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몇 가지 판단 원칙이 따른다. 그 중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용신임. 정리를 하면 용신이란 어떤 占을 치는 목적에 따라 「사용되는 神이란 뜻임?

*점적에 따라 용신은 틀리므로 정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용신이 될 수 있는 六親과 世應爻의 特質「지니고 있는 의미와 그 작용?을 알아야 함. 용신 중에는 世爻와 應爻도 用神의 성질이 있다.

 

主要原則

1. 자기에 관한 점은 世爻가 用神이다.

예를 들어서 자기가 점을 치거나 치러온 사람이 있을 경우 본인이 점을 치거나  치러온 사람이 본인일 경우는 世爻가 용신이다.

代占에도 當者의 문제라면 世爻를 용신으로 간주함을 명심해야 한다.

2. 彼我의 관계가 있는 一切의 문제에 관해 점칠 때는 應爻가 용신임. 世爻는  자기 자신이 된다. 즉 상대방이 용신이 됨.

예)어떤 일로 교섭을 벌일 경우 (재판 상거래)

3. 형제자매의 관계로 점을 칠 때는 兄弟爻

얘)형, 아우의 이사 신수 등.

4. 자손. 자녀. 제자. 의사. 투약. 승려. 가축. 등의 문제로 점칠 때는 자손 효가 용신(자녀의 질병. 의사의 처방. 투약. )

5. 처첩. 부하. 피고용인. 화물. 재화. 가구. 기구.등을 문제로 점칠 때는 妻財爻가 용신 (아내의 질병. 일군고용. 구재점. 경제적 손실)

6. 직업상의 成敗. 官職. 일. 남편(여성의 입장).도난사고. 악인 등 자기에게 해를 끼칠 때 근심. 걱정이 되고 압력을 가하는 취지의 모든 문제일 때는 官鬼爻.

예) 남편의 질병 선거결과 어떤 문제로 해를 가해 올 때 (동양운명 철학상 남편은 아내에게 압력을 가하는 대상으로 간주하고 나아가서 해를 가하는 존재로 보는 관념이 있어 이상과 같은 선택이 가능)

7. 부모 조부모 나이 많은 사람 선생. 주인. 가옥. 차량 선박. 의복. 옷감. 문서. 문장. 학교. 계약. 증권. 수표. 등은 父母爻

★모든 용신은 易卦에 나타나있고 그리고 그렇지 않은 2가지 중에 어느 하나에 해당된다.

 용신이 易卦에 나타나 있다.「飛神?

 용신이 易卦에 나타나 있지 않다.「伏神?


그리고 飛神은 다음과 같이 분류함.

 용신이 움직이고 있다.「動爻?

 용신이 움직이고 있지않다「靜爻?

(1)飛神(용신이 나타나 있음)

 動爻와 靜爻가 있다.

(2)伏神(용신이 나타나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이 용신은 세 가지가 있다.

  (靜爻. 動爻, 伏神)

용신의 이러한 상태는 대단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3종의 用神狀態에 따라 모든 사물의 吉凶成敗를 判斷하는 法則이 다르기 때문이다.

즉 용신이 靜爻냐 動爻냐 伏神이냐 그리고 用神의 强弱에 따라 吉凶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위의 3가지를 예를 든다면 

動爻가 한 번 도 없었고 얻은 卦는 水天需라고 하자. 이괘로 자기 자신의 신수점을 친다고 하자 그러면 用神은 世爻가 되므로 밑에서부터 4번째 즉 四爻가 용신이 됨. 이 世爻는 동효가 아니다. 그리고 世爻는 易卦에 表出되게 마련이므로 飛神이다(靜爻) 그런데 점을 친 사람이 父母의 健康問題를 占的으로 삼으면 그런데 6개의 爻에는 父母爻가 表出되어 있지 않다. 두 번째 爻옆에 巳爻가 伏神으로 숨어 있다. 이 경우에는 伏神이다.

그리고 세 번째로 初爻가 動爻였다. 그리고 누구와 교섭할일이 있다고 하자, 이때는 應爻가 용신이 된다. 그러므로 用神이 움직이려고 하는 動爻이다.

                         

★伏神이란 무엇인가?

飛神에 나타나지 않은 五行(六神)을 말한다.

伏神은 숨어 있다는 뜻이다.

伏神은 卦象의 宮으로 찾는다.


예) 兌金宮


           戌=

           申=     - 動爻   酉 化爻

           午-

           丑=

           卯-

           巳-

          飛神


飛神에 水다 없다. 本卦가 兌金宮이니 兌金丁巳 巳卯丑 亥酉未 해 보면 亥가 四爻에 붙는다. 이때 亥를 보고 伏神이라 한다.

만약 化爻에 水가 있어도 伏神을 찾는다.


★月建과 日辰에 의한 强弱

*六爻에서의 强弱은 바로 吉凶과 바로 直結된다. 그래서 占的이 정해지고 그에 따라 用神이 정해지면 그 用神이 强할 경우에는 吉로 判斷하고 弱할 경우에는 凶으로 판단한다.

*그런데 이 强弱의 審察은 用神을 중심으로 하여 최종적인 結論을 내려지기도 하지만 이 結論이 얻어지기 까지 用神만이 아니라 他爻와의 관계의 强弱도 보아야 한다. 이 强弱은 여러 가지 角度에서 살펴보아야 하므로 대단히 복잡하다.

그 요령과 순서를 요점 정리하면

*强弱分別의 條件

(1)爻와 月과의 關係

(2)爻와 日과의 關係

(3)爻自體의 變動關係


*爻와 月建과의 關係(점치는 달의 十二支)

(1)旺相休囚死

(2)生剋

(3)破

 가. 旺相休囚死

    寅卯月建 - 寅卯爻(旺)

               巳午爻(相) - 爻를 生해옴

               亥子爻(休) - 爻가 生해줌

               申酉爻(囚) - 爻가 剋함

           辰戌丑未爻(死) - 爻를 剋함.

 區分

土旺節 

 寅卯月

 巳午月

 申酉月

 亥子月

丑辰未戌月

寅卯

巳午

申酉

亥子

辰戌丑未月

巳午

辰戌丑未

亥子

寅卯

申酉

亥子

寅卯

辰戌丑未

申酉

巳午

申酉

亥子

巳午

辰戌丑未

寅卯

辰戌丑未

申酉

寅卯

巳午

亥子

*旺이 가장 强하고 그 다음이 相이 强하며 休囚死는 弱함

이 旺相休囚死 關係는 結局 五行의 相生, 比和, 相剋關係를 다섯 가지로 분류한 명칭이다.


初心者를 위해 설명을 하면 春季를 예를 들어보자 봄철은 월지로 寅卯月이 된다. 즉 陽曆2. 3월 에 해당한다.  

*이 寅卯月은 五行으로 本氣가 旺盛한 달이다. 따라서 同氣인 寅卯爻에서 가장 힘을 많이 보태어주는 協扶의 달이 된다. 그래서 「旺?이 되는 것이다.


*巳午爻에 대해서는 寅卯月이 生扶해 주는 달이 된다. 그래서 用語上으로서 「相?이 된다.

 

*寅卯의 木氣月은 亥子의 水氣爻로부터 빼앗아가는 달이 된다. 즉 爻에서 月에게로 氣가 누출되는 달이다. 水生木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맥 빠진 爻로 보아 쉬고 있는 것이기에 「休」가 된다. 相生관계 이면서도 主體인 爻의 氣運을 減少시키는 相生關係이기 때문에 相보다 약한 뜻의 休라는 용어를 쓴다.


*寅卯의 木月에는 申酉의 金氣爻가 月을 剋한다. 그래서 金行의 爻는 木行의 달에 힘을 심하게 소모시킨다. 갇혀버린 사람의 無力. 脫力狀態이므로 「囚?라고 한다.


*辰戌丑未爻는 春節 寅卯月의 木氣로부터 剋을 당한다. 즉 木剋土의 관계로서 爻가 剋을 당하는 被剋關係가 된다. 앞의 囚관계는 爻쪽에서 月을 剋했지만 死關係에서는 爻쪽에서 月氣로부터 剋을 당했다. 剋관계라는 점에서는 같지만 힘의 向方이 반대다. 즉 死의 관계에서는 主體인 爻가 剋을 받음으로써 극심한 脫力을 초래한다. 그래서 죽음을 당한 다고 하여 死라는 용어를 옛 어른들은 썼던 것이다. 

이상과 같이 五行에서 旺相休囚死는 爻가 主가 되고 月이 客이 되어 相生. 比和. 相剋관계를 分別함을 알 수 있다.


生剋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이것도 月建과 卦爻相互間의 十二支關係를 살피는 것이다. 즉 月建으로부터 효의 十二支가 生의 관계인가, 剋의 관계인가를 분명히 하면 된다. 이 生剋關係는 相과 死의 관계와 같다.


예를 들어 巳午化月에는 辰戌丑未土의 爻가 相이 된다. 月氣에서 爻氣를 生해주는 關係이기 때문이다. 이런 관계를 바로 生關係라고 한다.

또 巳午火月에는 申酉의 金氣爻가 破剋되어 死가 된다. 즉 剋이라고 부른다. 즉 相과 生은 結局 같은 관계이면서 用語만 달리 쓰일 뿐이다. 다시 말해서 동일 하지만 구별되는 관계다.


★破를 살피는 요령은 다음과 같다.

파는 전술한 剋의 關係와 중복되지만 역시 별개의 관계로 간주된다. 정식명칭은 月破라고 한다. 月과 爻와의 관계이기 때문이다.

子月에는 午가 月破

丑月에는 未가 月破

寅月에는 申이 月破

卯月에는 酉가 月破

辰月에는 戌이 月破가 되니 命理學에서는 冲의 관계이다.

*破가 爻의 弱勢를 의미함은 물론이다. 이상 旺相休囚死의 관계가 중복되면 강렬함.


*이들 3대조건 (旺相休囚死. 生剋. 破)으로 구체적 强弱을 가늠하면

1. 旺相의 爻를  .... +

2. 休囚死의효를 .... - 이고

이 경우

1. 旺의 爻를 .... +2

2. 相의 爻를 .... +1

3. 休囚死 爻 .... -1 (剋破도 -1)

4. 休囚死 이면서 파극이 중첩하면 .... -2

 *그러나 生은 相의 관계에서 내포되고 동일시되므로 겹치더라도 중첩으로는 볼 수 없다.

 

*다시 정리하면

1. 旺의爻 .... +2

2. 相의爻 .... +1

3. 休囚死 .... -1

4. 剋의爻 .... -1

5. 破의爻 .... -1


*子의 爻를 기준으로 하여 各月의 十二支와의 관계를 陰陽數로 보면 다음과 같다.

1. 子月에는 子爻는 旺이므로 ...........................+2

2. 丑月의 子爻는 休囚死에다 剋이므로 .........-2

3. 寅月의 子爻는 休囚死이므로 .......................-1

4. 卯月의 子爻는 休囚死이므로 .......................-1

5. 辰月의 子爻는 休囚死에다 剋이므로 .........-2

6. 巳月의 子爻는 休囚死이므로 .......................-1

7. 午月의 子爻는 休囚死에다 破이므로 .........-2

8. 未月의 子爻는 休囚死에다 剋이므로 .........-2

9. 申月의 子爻는 相이므로 ................................+1

10.酉月의 子爻는 相이므로 ................................+1

11.戌月의 子爻는 休囚死에다 剋이므로 ..........-1

12.亥月의 子爻는 旺이므로 .................................+2


★爻와 日辰과의 관계

점치는 날의(日辰)十二支를 六爻에서는 日辰이라고 하는데 이 日辰과 爻의 관계는

1. 生剋

2. 長生. 帝旺. 墓. 絶.

3. 空亡

4. 冲.


이렇게 4가지로 대별한다. 이중에서 生, 長生. 帝旺의 관계가 「强?이고 剋, 墓. 絶의 관계는 「弱?이 된다.

*空亡. 冲은 전술한 月建과의 관계여하에 따라 강약이 정해진다.


1의 生剋關係는 日의 十二支와  爻의 十二支와의 관계를 보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다.

*日辰이 나를(爻)를 생하면 生이되고 극하면 剋이 된다.

子日辰에는 寅卯爻가 生이되고 巳午爻가 剋이됨.

寅日辰에는 巳午爻가 生이되고 辰戌丑未爻가 剋이됨.

   *이상의 十二支關係에서 生이 강하고 剋이 弱함은 물론이다.


이상 열두 가지를 나열하면 복잡한 것 같으나 알고 보면 五行別 分別에 지나지 않는다. 六爻學에서는 이런 갖가지 約束은 다섯 가지로 分類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앞의 月建에서 旺相休囚死중 「相?이 「生?이고 「死?가 「剋?임으로 月建이냐 日辰이냐가

다를 뿐이다.


★長生. 帝旺. 墓. 絶.

  이것은 十二支의 特殊關係로서 용어로는 十二運星 또는 12長生이라 함. 命理學에서는 12가지만

사용하지만 六爻에서는 上記 4가지만 사용한다(임신 점에서는 胎를 사용하나 여기서는 略한다.)

*이것 역시 일진과 爻의 相互間에 의해 정해진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이제까지와는 달리 爻의 十二支로부터 日辰의 十二支를 본다는 것이다.

즉 앞에서는 日辰기준으로(子日辰에는 寅卯爻가 生이되고 巳午爻가 剋임.)즉 日辰이 나를(爻)를 生하는냐 剋하는냐 인데 生해오면 生. 剋해오면 剋이다. 十二支를 對比하여 보았지만 여기서는 그 반대다. 의미상 근본적으로 다를 것은 없어도 記述上 차이점이 있으므로 注意할 필요가 있다.


*寅卯爻는 亥日이 長生이 되고 卯日이 帝旺이 되며 戌日은 墓가 되고 亥日은 絶이 된다.

*巳午爻는 寅일 長生,  午는 帝旺, 戌은 墓가되고, 亥는 絶이된다.

*申酉爻는 巳일이 長生, 酉日이 旺이요, 丑日이 墓가 되고 寅日이 絶이 된다.

*亥子爻는 申日이 長生되고 子日이 帝旺이고 辰日은 墓가 되며 巳日은 絶이 된다.

*辰戌丑未爻는 앞의 亥子효와 같다.

표를 만들어 보면

辰戌丑未

亥子

申酉

巳午

寅卯

爻  日辰

 申

*이상은 일반적인 說인데 五行중에서 辰戌丑未의 土爻에 대한 12運은 中國正統을 자부하는 透派에서는 무시한다.

*姙娠, 孕胎占에만 胎를 사용함.(여기서 임신 점의 胎는 용신이 胎가되는냐를 살필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예외가 하나 있다. 申酉爻만은 長生과 墓의 강약이 바뀐다. 즉 長生이 弱하고 墓가 강하다.


★空亡을 보는 요령은 다음과 같다.

亦是 占日의 간지 즉 日辰과 卦爻의 十二支를 對照하면 된다. 日辰에서 해당되는 空亡이 卦속에

있으면 그爻는 空亡이 되고 없으면 무의미 하다.

예) 己未日에는 子丑爻가 空亡이다.


이 공망은 원칙적으로 爻의 힘을 弱化시키는 것이지만 條件에 따라 달라진다.

1. 月建으로부터 보아 旺相인 爻.

2. 日辰으로부터 보아 長生, 帝旺인 爻.

 이상 두 조건에 부합될 경우 비록 空亡이 된 爻라도 空亡이라고는 보지 않는다.


★冲은 다음과 같이 살핀다.

亦是 日辰과 爻의 關係이다.(月建과 爻와의 관계에서 설명한 破와 같은 것이다. 名稱만이 다를 뿐

이다. 즉 月破와 爻와의 關係일 때는 그냥 月破라 하고, 日辰과 爻와의 관계일 때는 冲이라고 한다.

*日辰과 爻와의 關係가 冲이될 경우에는 月建과 關聯시켜 判斷한다.

1. 冲이 되는 爻의 十二支가 月建과 旺相의 關係가 되면 「暗動?이라고 본다.

2. 冲이 되는 爻가 十二支의 月建과 休囚死의 關係가 되면 「日破?라고 한다.

*이 분별이 끝나고 强弱을 정한다.(暗動인 경우는 强해지고 休囚死의 日破인 경우에는 弱해진다.

 

★이상 네 가지 조건들을 强弱의 수치로 要約整理하면

1. 長生. 帝旺인 爻는 ...............+2

2. 墓, 絶인 爻는.........................-1

3. 生인 爻는 ..............................+2

4. 剋인 爻는 ..............................-1

5. 空亡인 爻는 ..........................-1 혹은 +1

6. 冲으로서 暗動인 爻 ............+1

7. 冲으로서 日破인 爻 ............-1

*이상으로서 알 수 있는 것은 日辰과 爻와의 關係에서 「長生, 帝旺, 墓, 絶, 生, 剋?등은 독립적으로 作用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空亡과 冲만이 月建과의 旺相休囚死 關係에 의해 左右된다는 점이다.


현재까지 要點整理하면

1. 月建과 爻의 관계.

 가. 旺相休囚死

 나. 生剋

 다. 破(月破 : 冲)

2. 日辰과의 關係

 가. 生剋

 나. 長生, 帝旺, 墓, 絶(爻에서 日辰을 본다. - 寅卯爻는 亥가 長生)

 다. 空亡

   *月에 旺相이 되는 空亡과 日에 長生, 帝旺이 되는 空亡은 비록 空亡이라도 空亡으로 보지 않는다. 그리고 月日에 旺相, 長生, 帝旺을 제외한 공망이 공망이다.

 라. 冲

   *暗動의 冲 - 月建과 旺相.

   *日破의 冲 - 月建과 休囚死

★重複되는 느낌도 있겠지만 空亡, 冲되는 爻만 注意하고 其他관계의 爻는 各種生剋原則에 의거 判斷하는 점만 각별이 명심하면 됨. 일반적으로 爻의 强弱은 이상의 諸原則에 의해 판가름 난다. 그러나 이상 공부한 諸原則으로도 判別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뒤따라야 한다.


2000. 11. 14.火曜日(瑞涓先生 서울출장으로, 德岸先生 江陵이사로 11. 6.講義를 今日로 延期하였음. 南雲書塾


★變動과 飛神에 의한 强弱

1. 動爻와 變爻와의 관계

爻가 움직인 경우 무엇으로 탈바꿈 하였는가에 의해 강약을 판별하는 방법

2. 立卦한 경우 動하는 爻가 전혀 없어 他爻로 變卦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어느 한 爻, 혹은 여러 가지 爻가 動하여 本卦가 變卦로 바뀌는 경우도 있다. 이때 動하는 爻를 動爻라 하고 動하지 않은 爻를 靜爻라 한다. 그리고 움직여서 變化된 爻를 變爻, 혹은 化出爻라 한다. 여기서는 動爻의 十二支와의 관계를 살핌.

 가. 動爻가 變爻로부터 받은 生剋關係(動爻가主)

 나. 動爻가 變爻로 되는 十二支關係(動爻가 主)

   (1) 回頭生 - 動爻가 變爻로부터 生

   (2) 回頭剋 - 動爻가 變爻로부터 剋

*亥子가 丑辰未戌등의 變爻로 바뀌일 때 回頭剋, 申酉등으로 바뀌일 때 回頭生, 寅卯爻가 申酉등의 變爻로 바뀌면 回頭剋, 亥子爻로 변하면 回頭生이다.

*이상 열거한 回頭의 生과 剋도 結局 五行의 彼生彼剋관계일 따름이다.

*回頭生은 강해지고 回頭剋은 弱함은 물론이다.

*爻가 動하여 變爻로 바뀔 경우 回頭剋도, 回頭生도 아닌 것 중에서 同氣, 同性도 있다. 이 同一五行으로 바뀌는 중에서 十二支의 順次序로서 十二支가 한 단계씩 변하는 것을 「진신?이라 칭하고 十二支의 逆次序로 十二支가 한자씩 변하는 것을 「退神?이라고 한다.

1. 順次 - 子丑寅卯 .......

2. 逆次 - 子亥戌酉 .......

*同氣五行 즉  同氣, 혹은 同一五行으로 變爻.


 가. 進神

   亥爻가  -  子爻로 (水의 同氣)

   丑爻가  -  進爻로 (土의 同氣)

*子午卯酉는 進神이 없다.


나. 退神 

   子爻가  _  亥爻로 (水의 同氣)

   丑爻가  -  戌爻로 (土의 同氣)

*寅申巳亥는 退神은 없다.


이상에서 進神이 강하고 退神이 강함은 물론이다.

★飛神과 伏神과의 관계

이것은 특수한 경우에만 쓰이는 방법이다 역괘 속에 占的으로 삼을 수 있는 用神爻가 나타나 있지 않을 경우 伏神이라는 것을 쓰게 되는데 이 복신의 强弱을 보는 방법이다.

이 伏神에 대응 하는 것으로 飛神이 있다. 伏神이 숨은 바로 옆에 있는 것, 즉 伏神이 의지하여 숨어있는 것을 飛神이라 칭한다.


예를 들어)

六十四卦중에 天風姤卦는 二爻바깥의 寅이 伏神이고 亥는 飛神이다.  이 伏神은 易卦속에 用神이 없을 경우에만 이용되고 易卦속에 用神이 있을 때는 무시된다.


★伏神의 强弱을 살피는 原則은 다음과 같다.

1. 伏神의 强弱은 우선 月建이나 日辰과의 관계로 分別한다.(요령은 기이 설명 하였다.)

2. 이상의 방법으로 不明일 때는 伏神과 飛神과의 관계를 본다. 伏神이 飛神으로부터 生을 받는 경우 혹은 伏神이 飛神과 同一五行인 경우에는 强한 伏神이다.

3. 伏神이 飛神으로부터 剋을 당하는 경우에는 弱한 伏神이다.

*이상으로서 爻의 强弱判別法은 모두 끝났다. 


★다시 要點을 정리하면

1. 月建과 爻의관계

2. 日辰과 爻의관계

3. 動爻 自體의 관계(進神. 退神)

4. 伏神과 飛神과의 관계


이상 4가지 大原則으로써 결국 爻의 强弱은 판가름 난다. 用神爻가 他爻보다 强하면 吉, 弱하면 凶으로 判斷함은 물론이다.


★用神判斷法

점치는 목적에 따라 用神이 정해지고 그 用神의 强弱은 이제까지 說明한 各種 條件如何에 따라 左右되며 用神이 强하면 吉하고 用神이 弱하면 凶하다.


이제부터 用神의 强弱을 判斷하는 법을 지금까지 說明한 各種條件들을 종합하여 說明을 追加하면


1. 첫째로 用神자체에 그 强弱의 條件들을 對照하여 본다. 이 단계에서 强弱이 뚜렷이 判別되면 더 이상 다른 것을 살펴볼 필요 없다.

2. 用神自體의 條件으로 强弱이 分別되지 않으면 「他爻?와 「用神?과의 關係를 보아 강약을 결정한다.

3. 用神이 易卦속에 나타나 있지 않고 伏神으로 엎드려 있는 경우에는 伏神의 强弱을 살펴보는 법을 쓴다.


★이상의 원칙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用神이 易卦에 나타나 있는 경우에는 우선 用神自體의 强弱을 살펴본다. 여기서 强弱이 分別되면 여타 條件은 더 따질 필요가 없다. 여기서 分別이 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다른 조건들을 살펴본다. 우선 용신과 月建과의 관계를 본다. 그 條件들은 다음중 하나이다.

1. 月建과의 관계가 旺이면 最强이고

2. 月建과의 관계가 相이면 强이고

3. 月建과의 관계가 休囚死이면 弱이고

4. 月建과의 관계가 休囚死인데다 月破 혹은 剋을 당하는 관계이면 最弱이다. 이상과 같이 용신과 月建과의 관계에 의해 强弱이 決定된다.


★다음은 用神과 일진과의 관계를 살핀다.(이 경우 앞의 月建과의 관계가 반드시 관련된다.)

1. 月建과의 관계가 旺相인데다 日辰과의 관계가 長生(申酉爻는 除外)이나 帝旺이 되든가 혹은 日辰으로부터 用神爻가 生을 받으면 이 用神은 決定的으로 强하다고 본다. 따라서 다른 여타 조건들은 따져볼 필요가 없다.

2. 月建과의 관계는 비록 旺相이지만 日辰과의 관계가 墓(申酉爻는 除外)나 絶이 된다거나 아니면 用神爻가 日辰으로부터 극을 당하면 이것은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본다.

 

 가. 靜爻인 用神은 他爻와의 관계에 의해 强弱이 決定된다.(이에 대해서는 다음 항목 他爻와의 관계참조)

 나. 動爻인 用神은 變爻와의 관계에 의해 强弱決定.

  (1) 動爻가 進神으로 바뀌든가 回頭生의 變爻를 만나면 이 用神은 强하다고 본다.

  (2) 이와는 반대로 回頭剋의 變爻를 만나면 이 用神은 弱한 것으로 본다.

  (3) 그리고 이상과 같이 動爻, 變爻만으로 强弱이 分別되지 않을 경우 「가?항목처럼 他爻와의 관계에 의해 分別한다.(예를 들면 用神이 子爻이고 變爻가 寅爻인때는 進神, 退神, 回頭剋, 回頭生, 어느 것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즉 子爻의 進神은 아예 없고, 退神은 亥이고, 回頭生은 申酉이고, 回頭剋은 辰戌丑未이다. 즉 變爻寅은 앞의 4가지 條件중 어느 것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다. 月建과의 관계는 비록 休囚死이지만 日辰과의 관계가 長生(申酉爻는 除外)帝旺이 된다든가 혹은 일진으로부터 用神爻가 生을 받는다든가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方法에 의해 强弱을 決定.

  (1) 靜爻인 用神은 他爻와의 관계에서 그 强弱이 左右된다.

  (2) 動爻인 用神은 變爻와의 관계에서

     (가) 動爻가 進神으로 바뀌든가 回頭生의 變爻를 만나면 이 用神은 강하다고 본다.

     (나) 이와는 반대로 動爻가 退神으로 바뀌든가 回頭剋의 變爻를 만나면 이 用神은 약해진다.

     (다) 그리고 動爻, 變爻만으로 强弱이 分別되지 않을 경우

 「(1)?항목처럼 他爻와의 관계에 의해 분별한다(예컨대 用神이 寅爻이고 變爻가 巳爻인때에는 進神, 退神, 回頭剋, 回頭生,중 어느 것에도 해당 되지 않음)

 

 라. 月建과의 관계가 「休囚死?인데다 日辰과의 관계가 墓(申酉爻는 除外)나 絶이 된다거나, 아니면 用神爻가 日辰으로부터 剋을 당하든가 空亡에 該當하면 이 用神은 決定的으로 弱하게 된다. 따라서 餘他條件들을 보지 않아도 된다. 이상 「가?에서 「라?의 4가지를 요약하면

  (1) 月建과 日辰에 대한 用神과의 관계.

  (2) 變爻에 대한 動爻(用神)의 관계

*이상 두 단계가 있고 이로서도 强弱이 判別되지 않을 경우 他爻와의 관계를 보아야함.

*月建과 日辰에 대한 用神의 관계에서 强弱이 判別되지 않을 경우 그 用神爻가 만일 靜爻이면 變爻에 대한 動爻의 관계는 아예 볼 수 없다.(즉 動爻가 進神, 退神, 回頭生, 回頭剋등을 살필 수 없게 됨)


★他爻와의 關係에 의한 判斷法

用神자체의 條件에 의해 강약이 判別되지 않을 경우 他爻와의 관계에 의해 강약을 살펴보아야 한다. 여기서 말하는 他爻란 用神以外의 爻 전부를 말 하는 것이 아니다. 「用神과 關係있는 爻?만을 指稱하는 것이다. 다음 3가지가 있다.


1. 原神(喜神) - 用神을 生해주는 爻.

2. 忌神 -  用神을 剋하는 爻.

3. 仇神 -  喜神을 剋하고 忌神을 生하는 爻.

 *上記 三種의 爻(原神. 忌神. 仇神.)을 일컬어 用神에 대한 他爻라 한다. 즉 앞 項目에서 用神自體가 月建, 日辰로서 判別이 불가능 할 때, 他爻와의 관계에서 强弱이 판별된다.


用神自體의 條件만으로 强弱이 判別되지 않고 이렇듯 他爻와의 관계에 의해 强弱을 判別할 경우 다음과 같은 원칙에 의한다.

  가. 原神이 강하고 忌神이 약하거나 없을 경우 그 用神은 강하다고 본다.

  나. 忌神이 강하고 原神이 약하거나 없을 경우 그 용신은 약하다고 본다.

  다. 原神과 忌神이 모두 강할 境遇에는 仇神의 强弱에 따라 다음과 같이 判斷한다.

     ㅇ. 仇神이 강하면 用神은 弱함

     ㅇ. 仇神이 약하면 用神은 强함

  라. 原神과 忌神이 모두 弱할 경우에는 仇神의 강약에 左右된다.


★伏神에 의한 判斷法

  우선 伏神 붙이는 법을 알아야 함.

伏神이란 卦內에 출현되지 않는 六神을 말 하는바 隱伏(隱伏 또는 沒神)이라고도 한다. 卦의 用神을 정하거나 육친관계의 형세를 살피는데 있어 六爻가운데 어느 한신, 또는 두 개의 神이 隱伏되어 있ㅇ으면 추리가 불가능 하므로 卦中의 沒神이 있는 것으로  출현시켜 용신을 잡거나, 六親관계를 對照 해 오는데 그 의의가 있는 것이다.

 

再言하여 六親이 모두 卦에 있으면 伏神을 출현 시킬 필요가 없다. 이 중에서 만일 財가 보이지 않거나 官이 보이지 않으면 財나 官으로 用神을 정해야 되는 경우 용신이 없거나 참고 할 수 없으므로 추리가 불가능 하여 財나 官을 출현 시켜 用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伏神을 出現시키는 예이다.

*天風姤卦(財가 用神일 境遇)


            父 戌 -

            兄 申 -

            官 午 -

            兄 酉 -

   財 寅    孫 亥 -     (隱伏)

            父 丑 =


*먼저 六親이 卦內에 모두 있는가를 살핀다. 그리하여 이 卦는 六親가운데 財가 隱伏되어 있다. 그러므로 沒神인 財를 찾아내야 되는데 이 卦는 天風姤卦고써 乾金宮에 속하여 主體五行이 金이다.  金의 財는 寅이나 卯木으로서 沒神 찾는 요령에 의해서 寅이나 卯木의 財가 닿는 곳을  찾아 해당되는 爻에 沒神을 기억해 두면 된다.


*要領 - 이 卦는 乾金宮이니 納甲法의 乾金 甲子, 子寅辰, 午申戌을 붙여 보면 初爻에 子, 二爻에 沒神 寅木이 隱伏되어 있으며 이것이 용신으로 쓸 수 있는 財의 육친을 출현시켰다.


*注意 - 卦의 原神(飛神)은 八卦의 種類에 따라 (乾金 - 子寅辰, 午申戌 등)小成卦의 納甲붙이는 法에 의하여 飛神을 붙이고 沒神은 大成卦가 어느 宮에 속했는가를 알아서 納甲順으로 爻를 짚어 沒神을 찾아낸다.


★伏神에 의한 判斷法

用神이 卦에 나타나 있지 않을 때는 伏神의 强弱을 본다.

1. 月建에 대한 伏神의 관계를 알아본다.

2. 日辰에 대한 伏神의 관계를 알아본다.

   이 두 단계에서 强弱이 判別디지 않으면

3. 飛神에 대한 伏神의 관계를 알아본다.

   이 伏神이 飛神으로부터 生을 받으면 강하고 剋을 받으면 弱한 伏神이 된다.

4. 占的에 따라 용신을 찾고 보니 易卦에 나타나 있지 않다는 것은 결국 用神이 弱하다는 뜻이기도 하나


*이런 경우에는 무리하게 복신에 의한 판단을 하느니 보다는 날짜를 달리하여 다시 立卦하여 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이상으로서 用神의 强弱에 의한 판단이 가능해 진다. 총 정리하여 그 조건과 순서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가. 占的에 의한 用神의 결정.

  나. 用神과 月建과의 관계.

  다. 용신과 日辰과의 관계.

  라. 용신이 靜爻인 경우  - 용신과 忌神,  原神과의 관계.

  마. 用神이 動爻인 경우  - 用神과 變爻와의 관계.

  바. 用神이 伏神인 경우 

     ㅇ. 伏神과 月建과의 관계.

     ㅇ. 伏神과 日辰과의 관계.

     ㅇ. 伏神과 飛神과의 관계.

     *이 가. - 라. 까지 의 强弱이 분명치 않으면 마. 항목의 방법으로 분별해 본다.

     *用神이 卦에 나타나 있지 않은 伏神인 경우 가. 항목에서 바로 바. 항목의 방법으로 넘어가서 살핀다.


應期

이 六爻에서는 그 결과가 실제로 나타나는 年. 月. 日. 時 등을 占術上 應期라고 한다.

이 應期는 占術上의 단위인 12支로 표현하는 것으로 ?旺囚? 와 ?冲合?과 ?生剋?등 세 가지의 12支작용에 의해 판단한다.


1. 旺囚에 의한 時間的 應期

★결과적으로 强하다고 판단된 용신이라고 하더라도 月建과의 조건에서 休囚死인 경우

①月支와의 경우에서 旺相이 되는 달

②日支와의 경우에서 帝旺이나 長生되는 날 등이 吉兆가 나타날 應期라고 본다.

예)최종판단에서 子爻용신이 강하다고 판단되어 일단 吉이라고 결론이 내려졌지만 다만 月建이 巳月인 까닭으로 休囚상태인 경우

  ①의 조건으로 따진다면 子가 旺相하는 달인 ?子亥申酉?월에 吉    兆가 發顯된다.

  ②의 조건으로 ?子申?日에 吉兆가 發顯됨

★결과적으로 약하다고 판단된 용신이더라도 月建과의 條件에서 旺相이 될 경우에는

*月支에서 休囚死되는 달

*日支에서 墓나 絶이 되는 날 등이 흉조가 나타난다.


★原神(喜神)이 强하기 때문에 용신이 결과적으로 강하다고 판단될 경우에

*原神이 月支에서 旺相되는 달

*原神이 日支에서 帝旺, 長生이 되는 날 등이 吉兆發顯되는 應期다.


★忌神이나 仇神이 强한 탓으로 용신이 결과적으로 弱하다고 판정될 경우

*仇神이나 忌神이 旺相되는 달

*仇神이나 忌神이 帝旺, 長生되는 날 등이 凶兆가 발현되는 應期가 된다.


2. 冲合에 依한 地支的 應期

12支 상호관계 중에서 冲合이 되는 관계에 의해 應期를 판단하는 것을 地支的 應期라고 한다.


★冲의 12支관계는 다음과 같다.

冲-子午, 丑未, 寅申, 卯酉, 辰戌, 巳亥

合-子丑, 寅亥, 卯戌, 辰酉, 巳申, 午未


★결과적으로 강하다고 判斷된 용신이 月建, 日辰, 變爻, 動爻(他爻) 등과 合관계를 이루든가 空亡이 되어 있는 경우 등에는 그 용신을 冲하는 年月日時의 12支가 吉兆 發顯됨.

 

★결과적으로 弱하다고 判斷된 用神인데, 게다가 原神이 强한 경우에는 그 原神을 冲하는 年月日時의 12支가 凶兆 發顯되는 應期임.

그리고 飛神이나 變爻가 用神을 강화해주는 조건일 경우에는 그 飛神이나 변효를 冲하는 年月日時의 12支가 凶兆 發顯되는 應期임.


★결과적으로 강하다고 판단된 용신이 月建 動爻(變爻, 他爻)등과 冲의 관계일 경우에는 그 용신을 合하는 年月日時의 12支가 吉兆의 應期가 됨.


★결과적으로 약하다고 판단된 용신인 데, 게다가 原神이 강한 경우에는 그 原神을 合하는 年月日時의 12支가 凶兆發顯應期이다.

또한 飛神이나 變爻가 用神을 강화해주는 조건일 경우에는 그 飛神 혹은 變爻를 合하는 年月日時의 12支가 凶兆의 應期이다.

(다른 신과 合이 貪이 나서 원래의 임무 망각)


3. 生剋에 依한 五行的 應期

★12支끼리의 단순한 生剋關係에 應期를 보는 것을 五行的 應期라고 한다.

★결과적으로 强하다고 判斷된 用神은 그 用神을 生해 주는 年月日時의 12支가 吉兆의 應期이다.


★결과적으로 弱하다고 판단된 用神은 ?忌神?이나 ?仇神?을 生해 주는 年月日時의 12支가 凶兆의 應期이다.


★결과적으로 强하다고 判斷된 用神인데, 게다가 飛神이나 變爻가 用神을 약화시킬 경우 그 弱化시키는 것(飛神, 혹은 變爻)을 剋하는 年月日時의 12支가 吉兆의 應期가 된다.


★결과적으로 弱하다고 判斷된 用神은 그 用神이나 原神을 剋하는 年月日時의 12支가 凶兆의 應期이다.


分占의 原則

①占的을 定한다.

②立卦한다.

③用神을 定한다.

④月建, 日辰, 空亡 기타 原則들에 依據 用神의 强弱을 저울질한다.

⑤그 다음 用神을 中心으로 原神, 忌神, 仇神 들의 영향력을 헤아려 본다.

⑥占的에 準해서 最終判斷을 내린다.

*自己自身에 관한 一切의 占은 世爻를 用神

*占的에 딱 들어맞는 用神을 分別해내기 어려운 때는 자기에 關한 占이므로 世爻를 용신으로 삼으면 그만이다. 그렇게 인정하면 그만이라는 것-이것이 六爻占의 모순인 것 같으면서도 사실은 오묘한 特徵인 것이다. 實際로 점을 쳐보면 이 用神定法에 혼동이 오는 수가 많다.

예)결핵병에 걸린 사람이 占을 친다고 하자. 病占에는 官鬼爻가 용신이 될 수 있고 치료해야 된다는 점에서는 孫爻가 용신이 될 수도 있다. 또 각도를 달리하여 수술을 받아야 할 환자일 경우에는 妻財爻가 용신이 될 수도 있다. 의사를 필요로 할 경우 의사의 실력이 占的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父母爻가 占的이 될 수도 있다.

그런데 어떤 急所的인 문제이든 그 환자 한 사람의 健康이 결국 문제가 되므로 世爻를 용신으로 삼으면 된다. 世爻는 포괄적으로 한 主體를 상징하기 때문에 그렇다. 아무튼 初心者가 六爻를 할 경우 자기 자신에 관한 한 世爻가 용신이다.

※자기 자신에 관한 占이긴 하지만 그 문제의 성질상 대립적인 개별의 대상이 있을 경우 世爻와 應爻가 더불어 용신이 된다. 그리고 제각각 原神, 忌神, 仇神이 정해진다.

※남에게 의뢰를 받아 점을 쳐 줄 때도 의뢰자 그 사람의 점이면 世爻用神이고, 그 의뢰자가 점을 칠 능력이 없을 경우, 대신 쳐주는 것이므로 그 他人으로 보아서는 결국 자기의 점이 된다.

※자기 이외의 사람에 관해서 점칠 때는 다음과 같이 한다.

*형제자매 친구 등 同格인 모든 사람에 관한 모든 일은 兄弟爻이고, 평범한 친구인 경우는 應爻를 용신으로, 친한 친구는 兄弟爻이다.

*父母이외의 나이 많은 사람은 父母爻

*고용인, 아내, 妻爻

*손아래 孫爻

*남편 官爻

*병 치료는 孫爻, 죽느냐 사느냐 官鬼爻

*求財問題 妻財爻


육효자리 해설

  1.初爻

初爻는 基地. 집터. 宅이요. 우물. 부엌이다.

初爻는 발이다. 뿌리. 말단벼슬. 방구들.

初爻는 孫爻다. 닭효다. 動土다. 小兒鬼다. 陽爻다.

初爻가 旺相하면 살고 있는 곳이 길하다.

初爻가 財爻를 생하면 토지로 인하여 돈을 번다.

初爻가 공망이면 저당 잡힌 집이다.

初爻가 劫煞이면 떠나고 싶다. 移住하고 싶다.

初爻와 日辰이 합되면 賣買가 안 된다.(冲일에 成事)

初爻나 宅爻를 父가 動하여 剋(冲)하면 垈地賣買 문제다.

初爻와 日辰 日帶면. 집, 땅 賣買문제다.

初爻와 六爻가 같은 오행이면 不吉하다.

初爻의 伏吟은 垈地나 점포 賣買件이다.

初爻를 三爻가 극하면. 가정이 불안하다.

初爻에 辰戌丑未를 月, 日支가 冲하면 墓에 결함이 있다.

初爻에 玄武가 붙고 內卦에 官이 動하면 사기꾼이다.

初爻에 靑龍 孫이 있으면 즐거움이 있는 집이다.

初爻나 宅爻에 句陳이 왕하면 가정, 직장에 더 눌러 있을수라.

初爻, 二爻, 三爻에 螣蛇가 있으면 헛되이 놀라고 의심하는 성질이 있다.

初爻에 伏孫이면 姙娠중이다.

初爻에 伏官이면 土神이다. 初爻에 伏父이면 집. 터. 가게. 매매 건이다.

初爻에 父는 집을 사고판다. 집을 사고 싶다.(8할은 垈地件다.)

初爻에 父가 子未 怨嗔이고 父下 伏孫이면 (그냥 원진이라도) 자식이 다리를 다쳤다고 본다.

初爻에 父가 剋을 받으면 垈地 賣買問題다.

初爻에 父를 化爻가 回頭剋하면 돈 관계로 집을 판다.

初爻에 父를 化爻財가 回頭剋 해도 돈 관계로 집을 판다.

初爻에 官이 있고 白虎 父 動하면 子息이 傷한다.

初爻에 財는 돈 있는 장소다.

初爻가 動하면 새 출발을 하려 한다. 이사 하려 한다. 속히 이사 가 진다. 땅 賣買件이다. 賣買점에는 不動産 등이 제일 잘 팔린다. 확실히 집 등이 잘 팔린다.

初爻가 動하면 退神되면 직장을 옮긴다.

初爻 父가 動하면 賣買占이면 잘 팔린다.(他爻 父動은 안 팔린다.)

初爻에 句陳  土나 木이 動하면 자식을 많이 나아도 다 죽는다.

初爻에 螣蛇 酉가 動하면 닭이 시끄럽게 운다.

初爻에 玄武 官이 動하면 다리病身. 關節炎. 濕疹 등이다.

初爻나 五爻가 動해 官을 急煞하면 교통사고다.

初爻에 財나 孫이 動하면 오래 못간다.

初爻가 動해 化爻가 玄武이고 日辰과 합하면 失物을 당한다.

    (玄武가 冲되고 三, 四爻가 動해야 찾는다.)

初爻나 二爻에 白虎가 喪門 殺이 붙어 動하면 근심. 걱정. 질병 있다.

初爻나 宅爻에 朱雀이 絶되고 空亡이면 官職에 이상 있다.

初爻, 二爻, 三爻에 玄武가 沐浴이 있어 動하면 이사한 터다. 밖으로 음흉한 일이 있다. (연애하는 등)

初爻 二爻 三爻에 陰官이 동하면  이상스런 꿈이 많은 집이다.


2. 二爻(宅爻)

宅爻는 가정이다. 家門이다. 宅(家屋).

宅爻는 부엌이다. 조왕이다. 백성(국민, 사람, 人)이다. 면장이다.

宅爻는 어머니爻, 孫爻. 夫婦爻. 犬(개)爻다.

宅爻는 다리(脚). 집수리 動土. 夫婦鬼. 兄弟鬼다. 陰爻다.

宅爻에 父는 집 文書 관계다. 집문서 등 걱정.

宅爻에 父는 자손에게 害롭다. 자식 때문에 속 썩는다. 자식이 安定이 안 된다.

宅爻나 初爻에 父가 空亡이면, 代代로 빈한한 터다.

宅爻에 兄은 돈 관계. 지출 문제. 빚쟁이. 빚 투성이.

宅爻에 兄은 재수 없다. 구설 많다. 빚 늘어난다.

宅爻에 兄은 損財다. 현재 적자보고 있다.

宅爻에 兄은 시끄러운(말썽 많은)집. 事件 있는 집.

         自己 집이라 해도 사건 있는 집.

宅爻에 兄이 日辰과 合되면 失物수다.

宅爻에 空亡이면, 내 집이 아니다.

친구 때문에 가출이宅爻의 兄이 劫煞이고, 玄武 붙으면 다.

宅爻에 官은 질병. 구설. 관재. 송사. 소송.

宅爻에 官은 가정에 근심이 있다. 관청 인 허가 건.

宅爻에 官은 가정(집)에서 하는 직업이다.

宅爻에 火(巳午)官이 玄武나 朱雀이면, 화재 조심. 구설 많다.

宅爻에 官이 朱雀이면, 官災가 확실하다.

宅爻에 官이 玄武면 失物 수라.

宅爻에 官을 三合局이 剋하면 집을 이사해라 또는 나가서 살아라.

宅爻에 官이 있고 五爻에 父가 있으면 父母가 不吉하다.

       관청 문제가 있다.

宅爻에 官이 玄武면 부엌 수리하여 생긴 탈이다.

宅爻나 三爻에 官이 螣蛇면 그 집에 괴상한 鬼神이 있다.

宅爻에 官庫가 있으면 액운 질병이 많다.

宅爻에 官이 空亡이면, 직업이 없다고 본다. 여자의 경우 남편이 없다고 본다.

宅爻에 財는 점포(가게)문제 있다.

宅爻에 財는 妻, 妾 女子 문제 있다.

宅爻에 財는 家宅 占에는 재수 있는 집이다.

宅爻에 寅 財는 幼兒服 장사.

宅爻네 卯 財는 成人服 장사.

宅爻에 財 官은 집에서 하는 직업(가내 공업 상점등)

宅爻와 五爻의 財는 물건을 사게 되니 돈을 쓰게 된다.

宅爻에 財가 玄武면 알지 못하는 사이에 손해 본다.


宅爻에 孫은 평화롭고 행복한 집이다.

宅爻나 五爻에 孫이 같이 있거나 宅爻나 五爻에 孫이 動하면 자식이 不吉. 자식이 가출이다.

宅爻의 孫이 剋이나 劫煞 당하면, 産母라면 難産이다.

宅爻에 卯孫이 玄武면, 주워온 자식이다. 養子다.

宅爻와 五爻는 언제나 相生함이 吉하다.

宅爻는 病 占에는 피부로 본다.

宅爻에 冲은 妻 가출이다.

宅爻나 五爻의 刑冲破는 질병 또는 사고다.

宅爻를 日辰이 冲하면 집을 판다.

宅爻에 冲은 매매 占에 집이 속히 팔린다. 오늘 집 보러 온다. 오늘 집보고 갔다. 곧 팔린다. 오늘 팔린다.(日辰이 冲하면 당일 매매)

宅爻를 沖剋하면 妻 가출. 집 매매. 또는 손재다.

宅爻를 五爻가 剋하면 家內 憂患이다.(특히 長子에)

宅爻를 年支가 沖剋하면 고장(흠, 이상이 있는)이 있는 집이다.

宅爻를 父가 動해 沖剋하면 집 땅 점포 등을 판다.

宅爻에 合은 이사 변동. 매매 건이 성립 안 된다. 늦다.

宅爻와 日辰 日帶는 가옥 매매 문제다. 이사 문제다.

宅爻와 日辰에서 退神이면, 이사했다. 하려다 못했다.

宅爻와 日辰 財의 合은 돈이다.

宅爻가 空亡이면 모든 일이 뜻대로 안 된다.

宅爻가 空亡이고 官爻에 入庫되면, 저당(담보)된 집이다.

宅爻가 空亡이며 日辰이 他爻에 入庫되면 금전 관계 또는 집 저당 건이다.(담보)

宅爻가 空亡이고 劫煞은 가정이 거칠고 황당할 수다.

宅爻가 劫煞이면, 집에서 나가고 싶다. 집에서 나간다.(六親 별로 본다.) 집을 팔고 他 곳으로 가고 싶다,

宅爻를 三爻가 動하여 劫煞하면, 현재 하던 것을 치우고 다른 것 해 보려 한다.

宅爻가 回頭剋되면, 이사하면 불길. 매매 占에는 吉. 제 값 못 받아도 속하다. 집을 팔아먹었다고 본다.

宅爻가 回頭生되면 집값 잘 받고 판다. 집을 산다. 보다 큰 집으로 이사 간다.

宅爻의 飛神 字가 이사 방위이다.

宅爻를 天地 冲하면 부동산 등이 팔린다.

宅爻를 三合局이 沖剋하면, 집을 판다.

宅爻가 五爻를 剋하면, 이사 가라. 이사 안 가면 敗한다.

집안에 殺星이 있다. 불안 지대이다.

宅爻와 五爻가 같이 空亡이면, 파멸의 운이다.

宅爻에 水가 있으면, 부엌에서 물이 난다.

宅爻에 木이 있으면, 정원에 나무가 있다. 또는 목조 건물이다.

宅爻가 月破를 만나고 또 殺이 붙으면 매일 재앙이 많다.

宅爻에 寅卯 木이 있으면 戌日에 집 등이 팔려. 戌日이면 당장 팔린다. 매기 없을 때 戌月에 팔린다.

宅爻나 三爻에 朱雀 土가 있으면 구설이 분분하다.

宅爻나 三爻에 朱雀 木이 있으면 몸은 해롭지 않다.

宅爻나 三爻에 朱雀 火가 있으면 싸워서 모든 것을 잃는다. 관재는 아니나 구설이다.

宅爻나 三爻에 靑龍은 利見大人이다.

宅爻나 三爻에 白虎 土가 있으면 액이 있고 크게 욕먹는다.

宅爻에 白虎가 있으면 이사해 손해. 직업 바꿔 손해다.

팔지 말고 이사 말고 변동 말고 그대로 있어라.

宅爻에 白虎 土가 있으면 가택이 불리하다. 그러나 失物하면 면한다.

宅爻에 應이 玄武 官이 붙으면, 남편 두고 애인 있다.

宅爻에 應이 靑龍 官이 붙으면, 은근히 남자를 기다리고 있다.

宅爻에 應이 酉官이 불어 日辰과 合하면, 여자를 占했을 때 여자가 다른 남자와 놀아난다. 놀러갔다.

宅爻가 動하면 변동. 이사 간다. 집수리. 집 짖는다.

     (단) 三合. 剋. 日辰과 合. 休囚되면 못 간다.

     가려고 해도 안 가진다. 못 간다.

     日辰이 化爻를 冲해도 못 간다.

宅爻가 動하여 進神이면 이사 변동할 계획이고,

宅爻가 動하여 退神이면 이미 이사 변동했고 또는 하려다 그만 두었다.

宅爻가 劫煞이고 動하면, 妻가 가출(六親 별로 감평) 가정 事가 복잡. 집 팔려해. 이사 가고 싶어.

宅爻가 動하고 日辰이 冲하면, 이사 등 변동 운이다.

宅爻가 動하여 世爻를 生하면, 근년에 옮겨와서 사는 집이다.

宅爻나 三爻에 句陳 土가 動하면 논밭을 산다. 땅을 산다.

宅爻에 螣蛇가 動하면, 집안에 개가 밤중에 괴이하게 짖는다.

宅爻에 白虎가 日支 字와 같고 動하면, 곡소리가 두렵다.

宅爻에 螣蛇나 朱雀이 動하고 財 持世하면, 숨겨 논 남자 있다.

宅爻가 動해 世를 剋하면 가정이 불편하다.(이사 갈 징조)

宅爻가 動해 化出한 孫이 世를 剋하면 자식이 고통 주는 것이다.(자식이 아프다) 자식이 집이 맞지 않아 이사해야 된다.

宅爻에 父 動하면 이사 간다. 또는 이사했다.

宅爻에 不動해 化孫이면 이사 후 자식이 삐뚤어 질 수 있다.

宅爻에 兄 動하면, 속히 가옥 돈 쓰라는 신호다.

宅爻에 兄 動하면, 구설 많다. 사업은 적자다.

宅爻에 兄 動하면, 妻와 不和다. 妻가 도망이다. 妻 빼앗겨.

宅爻에 玄武 兄 動하면, 도둑맞는다. (妻 빼앗긴다.)

宅爻에 官 動하면, 집에 우환 있다.

宅爻에 官 動하면, 직업(직장)변동이다.

宅爻에 官 動해 進神이면, 직장(직업) 승진 등은 吉. 他는 凶.

宅爻에 官 動해 進神되고 官이 劫煞되면 좋은 집 가진 후 남편이 병든다.

宅爻에 官 動해 退神이면 퇴직 사표 등 직업을 그만 둔다. 이때 官이 休囚되고 日辰이 冲이나 겁살하면, 직업 놓고 놀고 있다.

宅爻에 財 動하면 여자는 남모르는 걱정 있다. 損財 등

宅爻에 財 動해 退神되면 損財 또는 妻 가출이다.

宅爻에 財 動해 退神되고 冲이나 劫煞 당하면 돈 까먹고 물러나 앉아 있다.

宅爻에 財 動해 退神되고 三合局이 財를 剋하면, 돈 크게 損財 또는 妻가 크게 害롭다.

宅爻에 孫 動하면, 자식 가출이다. 新策(집 짖는 것)에는 吉하다.

宅爻에 白虎 孫 動하면 근본 재산을 절약이나 재산 관리를 잘 하는 집안이다.

宅爻에 世가 있고 初爻나 五爻가 動해 官이 劫煞되면 교통사고

宅爻에 父下 伏孫은 자식 가출이다.

宅爻에 父下 伏兄은 兄 집이다.

宅爻에 兄下 伏父는 도둑을 기르고 있다. 결국은 남의 집이 된다.

宅爻에 伏財는 밖에는 돈이 없고, 집에서만 돈이 있다. 집을 팔려고 한다. 사업 벌려도 돈 벌이 안돼.

宅爻下에 伏財는 집을 팔려고 한다.(빚 때문에)

劫煞된 宅爻下에 伏父는 집을 새로 짓는다.

劫煞된 宅爻下에 伏財는 돈 때문에 집을 판다.

宅爻下에 伏官은 神 病이다.

宅爻下에 伏父는 가옥 매매 문제다. 팔아 볼까 사 볼까 하는 속셈이다.

宅爻나 三爻下에 伏官은 무당이다. 神을 모시고 있다.(70%)

宅爻에 官下 伏財는 집을 팔려고 한다.(빚 때문에)

宅爻에 伏兄이 劫煞이면 셋방살이, 군식구 있다. 돈 벌이 안 된다. 집문서 차질 있다.


 

3.三爻

三爻는 문. 방실. 방이다. 문이다. 대문, 청마루다.

三爻는 돼지爻. 郡守爻. 兄弟爻다.

三爻는 陰部. 膀胱. 허리다.

三爻는 宅爻를 보호하는 자리다.

三爻는 伏神을 살피고 生氣福德을 살핀다.

三爻가 胞胎면 姙娠이다.

三爻에 伏神은 姙娠한다.(伏神을 합하는 해에)

三爻에 孫이 같이 있으면 子息이 獨子다.

三爻가 初爻를 剋하면 가정이 불안하다.

三爻가 동하면, 이사예정 이사 간다.

三爻에 靑龍 재동은 새 터에 집짓는다.

三爻에 朱雀이 동하면 반드시 구설이다.

三爻에 句陳이 동해 有氣하면 吉하다.

三爻에 句陳이 동하면 주인 없는 일에 헛수고 한다.

三爻에 白虎 官動하면 돼지 기르지 마라.

三爻가 空亡이면 허리 병이다.

三爻가 動해 化爻가 空亡이면 허리 병이다.



4. 四爻

四爻는 妻爻다. 財爻. 道知事爻. 長官爻다.

四爻는 갈빗대. 배꼽. 腹部.

四爻는 백숙부모. 이모 姑母爻다. 궁합 볼 때는 중매쟁이다.

四爻는 도로. 교량. 대문. 문밖. 교량수리.

四爻는 外家다. 妻家다. 도로다.

四爻. 五爻는 가슴이다.

四爻에 官은 凶事가 있다.

四爻에 官이 世爻를 剋하면 여자 때문에 재변이 많다.

四爻에 겁살은 직장 상사 동료들과의 직업을 연결해 길흉 판단.

四爻에 孫 空亡은외가집에 같다 오다가 노상 액이다.

四爻가 動하면 현재 하는 일이 천직인데 직업 변동 하려 한다.

四爻에 官 동하면 관재구설이 생긴다.

四爻에 財가 旺하고 動하면 대길하다.

四爻에 등사가 동하면 요괴가 출입하고 남편에게 재앙 생기고 악몽과 수심이 많다.

四爻에 주작이 동하면 반드시 관액이다.


5. 五爻

五爻는 왕. 尊長. 우두머리. 대통령 효다.

五爻는 중앙청. 청와대. 집 천정爻다.

五爻는 집 식구로 본다.

五爻는 사회다. 직장이다. 남편이다.

五爻는 심장. 가슴. 등. 목. 손. 爻이다.

五爻는 택효와 더불어 특별히 중요시 한다.

五爻와 宅爻가 相生하면 길하고 剋,冲하면 不吉하다.

五爻에 酉金은 車운전사. 申도 車다.

五爻에 官을 생하면 승진이다.

五爻에 官이 劫煞등 凶神을 만나면 직장에서 또는 남편이 직장에서 불길하다.

五爻에 官이 공망 이면 남편이 집에 없다.

五爻에 靑龍官이 유기하면 高官이다.

五爻에 財가 旺하면 큰 돈 나간다.

五爻가 동하면 식구가 흩어지거나 남편이 직장을 그만둔다.

五爻가 動하고 劫煞은

 가. 특히 자식이 가출이다.

 나. 육친별로 가출을 본다.

 다. 직장 직업 변동이다.

 라. 직장 내에 복잡한 사건이 있다.

五爻가 動해 退神이고 충을 맞으면 남편이 사망한다.

五爻에 父가 動이면 이사 문제다.


6. 六爻

六爻는 家地. 棟宇. 棟樑

六爻는 先祖. 宗廟. 祠堂. 祖宗. 家庭

六爻는 종업원. 馬. 頭面. 耳目.

六爻는 집정관. 최고 권력자. 머리. 지붕. 하늘. 높은 곳.

六爻에 刑冲은 두통이다.

六爻와 初爻가 같은 오행이면 불길하다.

六爻에 世는 家長이다. 머리복잡한 일이 있다.

六爻가 왕상 하면 이사 등에 길하다. 六爻에 청용이 年支字와 같고 동하면 진급하고 일 년 내내 돈이 들어온다. 타곳의 자금이 나에게 흘러 들어온다.

六爻가 動하고 겁살이면. 변동이다.

 가. 이사변동.

 나. 영업변동.

 다. 종업원(고용원)변동.

 라. 자식변동.(가출 등)




六爻의 細則


入試占

      用神-父爻

      原神-官鬼

      忌神-財爻

      仇神-孫爻

1. 이 경우에는 世爻도 본다.

 世爻가 用神이나 原神이면서, 게다가 강하면 入試는 希望的이다. 반대로 世爻가 忌神이거나 仇神이 되면 入試에 지장이 생기기 쉽다.

2. 父母爻가 旺相인데다가 長生, 帝旺이 된다든가, 日辰으로부터 生扶를 받는다든가 하면 合格할 가능성이 높다.

3. 父母爻가 月建과의 條件에서는 강하고 日辰과의 條件에서는 약하다든가 반대로 月建과의 조건에서는 약한 대비에 日辰과의 條件에서는 강한 경우 이상 두 가지의 强弱混在의 경우에는,

*用神이 靜爻이면-官鬼爻나 妻財爻를 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官鬼爻는 용신인 父爻에 對하여 原神이 되고 妻財爻는 父母爻에 대하여 忌神이 되기 때문이다.

原神인 官爻가 강하면 당연히 그 강한 힘을 父母爻가 보기 때문이다. 그래서 入試전망이 밝고 妻財爻가 강하면 그 강한 힘은 용신에게는 불리하다. 그래서 合格可能性이 희박하다.

*用神이 動爻이면 이 경우에는 變爻와의 관계를 보아야 한다. 動爻가 變爻로부터 回頭生의 生扶를 받든가 動爻가 變爻로 바뀌는 상태가 進神이 되면 이 動爻 즉 용신은 강하다. 따라서 入試의 전망이 밝다. 반대로 動爻가 變爻로부터 回頭剋을 당한다든가 아니면 退神이 되면 이 用神은 약해진다. 따라서 落榜할 위험이 높다.

*用神이 伏神이면 飛神과의 관계를 보아야한다. 즉 伏神이 飛神으로부터 生扶를 받는다든가 伏神과 飛神이 둘다 同一五行이든가하면 이 伏神은 강하다. 즉 용신은 강하다.

*그리고 앞에서 說明한 用神은 이 六爻占을 직접 치는 본인의 入試占일 경우에만 可하다.

부모가 자녀의 入試占을 치려고 占術家에게 卜問하러 왔을 때는 그 부모의 자식 문제이니 만큼 용신은 孫爻로 잡아야 한다.

만일 父母가 아니고 형님이 아우의 入試結果가 궁금하여 점치러 왔다면 이때엔 兄弟爻가 용신이 되어야 마땅하다. 주의할 일이다.

就職占

1. 就職에 關한 占은 아래와 같이 設定함

*用神-官鬼爻

*原神-妻財爻

*忌神-孫爻

*仇神-兄爻

2. 그리고 이 경우에는 용신만이 아니라 世爻도 참고함. 世爻가 동시에 仇神인 兄爻, 忌神인 孫爻로 되어 있던가, ?月破. 日破. 空亡(반드시 休囚가 되는 공망)?등이 되는 경우에는 일이 잘 이루어지기 어렵다고 간주한다.

3. 취직이 될 것인가 안 될 것인가는 별 문제로 치고 도대체 이 직장이 적합한지 부적합한지 아니면 취직이 되더라도 오히려 당사자에겐 불리한 직장인지 이것이 문제가 되어 占的으로 삼았을 때는 世爻가 용신이 되어야 한다.

즉 官鬼爻를 용신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

4. 이와는 반대로 취직이 된 다음의 好. 不運은 어찌됐든, 취직이 될 것인가 안 될 것인가를 占的으로 삼았을 때는 당연히 官鬼爻가 用神임.

5. 그런데 어떤 사람이 어떤 취직을 하던 간에 결국은 이상 說明한 두 가지는 同時에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없다. 취직이 아예 안 되는 것도 문제가 되지만 설사 취직이 되더라도 그 직장이 그 사림에게 不利한 條件만 떠맡겨지는 직장일 경우도 큰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就職占을 칠 경우에는 世爻와 더불어 官鬼爻도 주목하지 않으면 안 된다. 즉 官鬼爻와 世爻가 別個爻일 때는 官鬼爻를 1次로 世爻를 2次로 주목해야 한다.


求財占

1. 구재에 관한 점은 다음과 같다.

 *用神 - 妻財爻

 *原神 - 孫爻

 *忌神 - 兄爻

 *仇神 - 父爻

2. 求財占에서는 다른 占과 같이 世爻의 條件을 그다지 重要時 하지 않아도 무방함. 왜냐하면 문제가 있어 점치는 당사자를 상징하는 世爻가 비록 조건이 나빠도 用神인 財爻가 강하면 재물이 들어올 가능성이 높다고 보기 때문이다.

3. 용신인 妻財爻 자체가 강하기 때문에 財가 들어온다고 판단될 경우 그 財貨의 入手는 일시적이고 一攫千金식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즉 비정상적인 방법에 의한 부수입일 경우가 많다고 간주함.

4. 原神인 孫爻의 조건이 강하기 때문에 財가 들어온다고 판단이 될 경우 그 재물의 入手源은 지속적이고 근본적인 것이라고 간주 한다. 즉 정상적인 수단에 의한 主收入이라 볼 수 있다. 예로서 봉급인상 이라든가 집세인상 등이다.

5. 매매나 금전대차 등의 점도 구재점과 대동소이하게 응용함.

다른 점은 妻財爻를 生扶해 주는 原神인 孫爻의 影響은 도외시 한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명백하다. 즉 대차나 매매는 어떤 사람에게는 一回性의 일이지 재원을 그다지 따질 필요가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용신의 뿌리가 되는 월신을 무시해도 된다는 논리가 성립된다.


婚姻占

1. 혼인에 관한 점은 남성과 여성이 다르다.

 가. 남성인 경우

  *用神 - 妻爻

  *原神 - 孫爻

  *忌神 - 兄爻

  *仇神 - 父爻

 나. 여성인 경우

  *用神 - 官爻

  *原神 - 財爻

  *忌神 - 孫爻

  *仇神 - 兄爻 

2. 혼인 점에서 용신은 결혼상대의 조건을 나타냄 즉 배우자가 될 사람의 성격, 건강. 학식. 등 그 인간의 조건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달리 말하면 결혼 그 자체의 행복 여부를 보장하거나 예시해 주는 것은 아니고 배우자가 될 사람의 좋고 나쁨을 암시 해  줄 뿐이다.

3. 용신은 본위만으로는 이상과 같이 국한되므로 世爻를 참작하지 않을 수 없다 주체를 상징하는 世爻에 대해 객체를 상징하는 용신(혼인점)이 어떤 구실을 하는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예컨대 어떤 처녀가 이 五行占을 쳤다면 세효는 이 처녀를 상징하고 신랑후보자는 용신으로 상징된다. 즉 官鬼爻로서 신랑이 대변 된다. 官鬼爻가 여러 가지 원칙에 따라 따져 보아도 그 조건이 강하면 이 신랑은 훌륭한 신랑이라고 간주한다. 그리고 官鬼爻(用神)가 世爻에 대하여 어떤 관계이냐에 따라서 두 사람의 결혼 후의 행복이 예상된다.

4. 그런데 이혼점 역시 구재점과 마찬가지로 四柱命理를 초월해서 판단할 수는 없다. 국소적이거나 단기적인 문제에 한하는 것이 바람직함.


出産占

1. 出産에 관한 점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用神 - 孫爻

 *原神 - 兄爻

 *忌神 - 父爻

 *仇神 - 官爻

2. 출산점에도 占的이 여러 가지 일수가 있다. 경우에 따라 用神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의 요함.

 *태아가 있는가, 없는가. 즉 임신이 되었나. 의 여부.

 *順産일까 難産일까?

 *임부자신의 건강상 길흉

 *태아의 성별은 무엇일까

  ★이때 卦 하나로서 알아볼 수도 없거니와 그렇게 해서도 안 된다. 立卦를 새로이 해서 분점을 해야 함.

3. 태아가 있느냐의 여부는 孫爻로서 강약판단.

4. 순산여부도 손효의 강약으로 함. 이때 3번 점에서 임신으로 판단되는 경우 순산으로도 해석되기 때문이다. 즉 임신이 되었으면 순산도 가능하다는 모순에 빠지게 된다 그래서 반드시 분점에 의해야 한다.

5. 임산부 자신의 길흉은 세효에 대한 손효의 작용은 물론 官鬼爻의 조건등도 살펴보아야 한다. 태아를 상징하는 孫爻가 母體(主體)를 상징하는 世爻를 剋한다면 당연히 母體가 危險하다고 판단해야 한다. 또한 官鬼爻가 動爻나 變爻에 해당하면 모체에 위험이 따를 수 있다는 것으로 간주함.

6. 性別判斷은 삼가는 것이 좋다. 신의 작품을 男兒 女兒로 말미암아 값을 정할 수 없기 때문이리라.


訴訟占

1. 訴訟에관한 점은 用神設定에 주의

 *用神 - 世爻

 *原神 - 世爻를 생하는爻

 *忌神 - 用神을 剋하는爻

 *仇神 - 原神을 剋하는爻

2. 裁判해서 이쪽이 이길 것인가 질 것인가를 알아보려면 이상 四神의 강약을 가늠해 보아서 用神과 原神이 강하면 勝訴임.

3.勝敗는 且置하고 소송과정상의 彼我의 역량관계를 알아보려면 자기를 世爻로 설정하고 상대방을 응효로 설정한다. 그다음 原神과 忌神을 살펴보고 어느 쪽이 강한가를 종합판단 한다. 世應관계에서 반드시 불리하다고 하여 반드시 敗訴한다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승소하는 사람과 비용의 多寡(적을 과)는 일치 할 수도 있고 반대일 수도 있다.


疾病占

1. 질병에 관한 점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用神 - 孫爻

 *原神 - 兄爻

 *忌神 - 父爻

 *仇神 - 官爻

2. 질병 점에는 世爻에 官鬼爻를 가장 두려워함. 官鬼星의 象意에는 死亡의 뜻이 있기 때문이다.

3. 世爻에 孫爻가 겹쳐진 것을 가장 좋아 한다. 孫爻는 醫師. 藥. 治療등의 좋은 의미가 있다.

4. 질병 점을 患者自身이 치는 경우는 거의 없다. 輕症患者는 모르지만 스스로 점칠 여유가 있는 患者라면 그런병은 占卜의 대상이 될 수가 없다고 볼수 있다. 결국 占卜에 의해 궁금증을 풀어볼 환자는 남의 힘을 빌어 점칠 수밖에 없다. 누군가가 대신 점을 쳐주고 問卜하는 사람은 혈친상 아버지도 되고, 어머니도 되고 兄弟姉妹도 될 수 있으므로 용신이 가지각색이 될 수밖에 없다. 아내가 남편의 질병에 관해 궁금해서 점치러 왔다면 官鬼爻가 用神이 될 것이며 남편이 아내의 질병을 점친다면 占卜家에게 의뢰하든 스스로 점치든 간에 용신은 妻爻다.

6. 官鬼爻가 用神일 경우에는 孫爻가  강하다든가 孫爻로부터 官爻를 剋하면 남편의 생명이 위독하다고 본다. 가령 官鬼爻가 「辰戌丑未?土라면 寅卯木이 月建과 日辰 기타 條件에서 강하면 木剋土가 되어 남편의 병환이 危篤(위독)하다고 볼 수 있다. 妻財爻가 되는 巳午火가 강하다면 男便의 병은 위독하다고 볼 수 없다.

7. 남편이 아내의 병이 걱정이 되어 점칠 경우 用神이 妻財爻다. 이때에는 孫爻가 原神이 된다. 원신이 강하다든가 用神을 생해주면 아내의 질병은 快癒(병나을 유)판단한다. 忌神인 兄爻가 강하다든가 用神인 妻妾을 극하면 아내의 병환이 위독한 것은 물론이다.

8. 아들이 아버지 혹은 어머니의 질병이 문제가 되어 점친다면 당연히 用神은 父母爻가 된다. 이때에는

 *原神 - 官鬼爻

 *忌神 - 妻財爻

 *仇神 - 子孫爻

이상의 五行易判斷細則에서 用神, 原神, 忌神, 仇神,등의 四神을 列擧한 밑에다가 木火土金水의 五行表記 추가 설명을 하면

 ★用神이 어느 爻가 되든 用神만 정해지면, 用神爻를 生해주는 五行이 原神이되고, 原神爻를 生해주면 忌神이되고, 忌神爻를 生해주면 仇神이 되므로 用神에게 가장 고마운 것은 原神이고 가장 해로운 것은 忌神이며 그 다음 해로운 것이 仇神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用神爻를 정한 후 用神爻의 五行을 生하는 것과 剋을 가해오는 오행을 빨리 정확히 분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좀더 쉽게 한글로 풀이해서 올려 드리겠습니다.

 

김도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