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학(손금)에 대하여
1. 수상학이란 ?
손바닥의 눈에 잘 띄는 3개의 주름, 서양의 수상학을 기준으로 생
명선, 감정선, 지능선을 중심으로 개인의 인생을 통계학으로써 나타낸 것
2. 한국 수상학의 현재 위치와 특징
1) 동양의 손금에 대한 자료는 거의 소멸되었고 서양의 자료는
잘 보존되어있어 세계의 손금은 대부분 유럽의 자료를 근거로 함
2) 현재의 한국은 손금은 프랑스에서 일본을 거쳐
일제 강점기 때 한국에 정착해 대부분의 정보가 그 시대를 따르고 있음
3) 각종 운세는 고정적인 숙명론이지만, 손금은 살아있는 생명체처럼
손금이 변하기 때문에 앞날을 개척하고 하는 이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다.
4) 근래에는 유전적인 것과도 관련이 깊다.
예) 지능선과 감정선이 이어져 한 줄로 된 것 `막쥔손금`은 다운증후군에서 많이 나타남
手相은 운세의 흐름에 민감하게 변화한다.
왼손은 태어나면서 가지는 선천적인 손,
오른손은 자신이 노력하여 만든 후천적인 손
- 우리들의 손에는 각기 다른 여러 가지 선(線)이 새겨져 있다.
- 많은 선 중 3대선 즉 생명선(生命線), 지능선(知能線), 감정선(感情線)은
- 누구나 태어나면서 갖고 있는 것을 본래늬 위치에서 움직이거나 변화하는 일은
- 거의 없지만 삼애선에서 나오는 지선이나 다른 가는 선 등은 길어지기도
- 짧아지기도 하여 항상 변화를 반복하고 있다. 사람의 운세는 일정하지 않으며
- 때로는 발전하고 때로는 쇠하여 성공하기도 하고 실패하기도 한다.
- 이러한 운세의 흐름을 민감하게 반영하여 수상도 또한 변화를 보이는 것이다.
수상(手相) 판단(判斷)의 순서
손등을 보아 손의 모양이 어느 형에 속하는가를 판단한다.
손바닥을 보아 손의 크기, 손가락 길이, 손바닥 색깔, 선의 농도,
선의 모양 등 전체적인 성격을 파악한다.
지능선(知能線), 감정선(感情線), 생명선(生命線)의 상태를 순서로 가능한 한 세밀하게 본다.
운명선(運命線)이 나와 있나 없나, 굵기, 어디에서 시작하여
어느 곳으로 흘러들어가 있는가 등 운명선의 모양을 체크한다.
전체적으로 보아 눈에 띄는 부분, 특징적인 부분을 확실히 살핀다.
유년법(流年法)을 사용하여 개운(開運) 할 때가 언제인가 불운(不運)이 언제 찾아오는가를 보아간다
수상은 단편적으로 보아서는 안됩니다.
가령 생명선이 짧아서 나는 올해 못 산다거나
두뇌선이 끊어져서,정신상태의 불균형이라던지 하는 경우처럼
매우 단편적으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매우 위험한 현상입니다.
수상은 먼저 손의 모양과 형태를 먼저 보아야 됩니다.
두번째로 손의 색깔을 유념해서 보아야 됩니다.
세번쨰로 손은 두께에 대해서 관심있게 보아야 됩니다
네번째로 손가락의 모양에 주의를 하셔야 됩니다.
다섯번째 손금에 비중을 두고 감명을 해야 됩니다.
마지막으로 전체의 균형과 선의 형태 모양등에 종합적으로 감명을 해야 됩니다.
손금은 1년 전부터 수시로 관찰 해야만 하며
환경에 따라 직업에 따라 이혼이나 병명에 따라 수시로 변합니다.
건강한 손금을 만들기 위해서는
늘 손을 청결히 하고 끊어지는 손금을 발견하면
인위적으로 매일 반복적으로 이어 주어야 합니다.
김도사.